자격증과 졸업 후 진로
젊음의 에너지로 세상을 밝히는 첨단사회의 전문직 전기기술인의 양성 남부대학교 전기공학과
진출분야
- 고전압, 대용량 전기설비 관리자
- 전기설비, 공사관련 회사
- 전기기기 및 전력전자 제조회사
- 신재생에너지(태양광∙풍력) 생산, 설비회사
- 에너지저장장치(ESS) 생산회사
- 에너지기술 관련 정부 출연기관(연구소, 공기업)
- 지능형전력망(스마트그리드) 운용 및 관련 회사
- 발전 및 송배전 관련 회사
- 반도체 및 전기전자 재료
- 전기전자 부품 개발 제조
- 건축 및 건설 분야 등
취업처
공기업체
- 전기관련 - 한국전력공사, 한국전기안전공사, 한국전력기술, 한전기공
- 에너지관련 - 한국수자원공사, 한국수력원자력
- 기간시설관련 - 대한주택공사, 도로공사, 한국철도공사, 지하철공사 등
전기관련 민간업체
- 대기업 (삼성전자, 삼성SDI, 삼성중공업, LG필립스, 현대, 하이닉스반도체, 한진중공업, OTIS엘리베이터, 대한통운, SR 등)
- 기업전기설비 제조업체, 전기공사 및 감리업체 등
대학원 진학
- 전기, 전자, 에너지관련 대학원 석사과정
자격증
- 전기기사 1 ·2급
-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전력부문의 투자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가경제의 효율성 측 면에도 주요하지만 자칫 전기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큰 사고의 위험도 많다.그러므로 전기설비의 운전 및 조작, 유지 · 보수에 관한 전문 자격제도를 실시 해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해 안전성을 높이고자 자격 제도 제정.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, 전기공사업체, 전기설계전문업체, 전기기기 설비업체, 전기 안전관리 대행업체, 환경시설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. 또한 전기부품·장비·장치의 디자인 및 제조, 실험과 관련된 연구를 담당하기 위해 생산업체의 연구실 및 개발실에 종사하기도 한다.발전, 변전설비가 대형화되고 초고속·초저속 전기기기의 개발과 에너지 절약형, 저 손실 변압기, 전동력 속도제어기,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 등 신소재 발달로 에너지 절약형 자동화기기의 개발,또 내선설비의 고급화, 초고속 송전, 자연에너지 이용확대 등 신기술이 급격히 개발되고 있다.
이에 따라 안전하게 전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전 문인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. 그리고 「전기사업법」등 여러 법에서 전기의 이용과 설비 시공 등에서 안전관리를 위해 자격증 소지자를 고용하도록 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 시 100% 취업이 이루어진다.
- 전기공사(산업)기사
- 전기는 생산, 수송, 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설비를 전기특성에 적합하게 시공되어야 안전하다. 이에 따라 전력시설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검사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 할 목적으로 자격제도 재정.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공사업체, 발전소, 변전소, 설계회사, 감리회사, 조명공사 업체, 변압기, 발전기,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가 쓰이는 모든 전기공사시공 업체에 취업이 가능하고 일부는 전기공사업체를 자영하거나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.전기공사 자격증은 전기공사 업종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면허증으로 면허증이 있어야만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법적인 자격요건으로 그 가치는 매우 높다.
특히 「전기공사업법」에서 전기공사의 규모별 전기기술자의 시공관리 구분을 규정함으로써 전기공사 자격증을 가진자만이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자격증 취득 시 매우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어매년 많은 인원이 응시하고 있다.
「전기공사업법」에서는 제1종공사업체에서는 전기공사기사1인을 포함한 전기기술자 3인 이상을 고용하도록 되어 있는데 1998년 현재 제1종 공사업체 수는 2,734개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.
- 소방설비(전기)기사
- 건물이 점차 대형화, 고층화, 밀집화되어 감에 따라 화재발생시 진화보다는 화재의 예방 과 초기진압에 중점을 둠으로써 국민의 생명,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 방 법이 더 효과 적인 방법이다. 이에 따라 소방설비에 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제도가 제정되었다.소방공사, 대한주택공사, 전기공사 등 정부투자기관, 각종 건설회사, 소방전문업체 및 학계, 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.
지난 10년간 화재건수는 매년 연평균 10.2%씩 증가하여 88년도에 12,507건이던 화재발생이 ‘97년도에는 29,472건의 화재가 발생하여 '88년도보다 136%가 증가하였다. 또한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증가와 각종 건축물의 대형화, 고층화 및 복 잡 다양한 각종 내부인테리어로 인하여 화재는 계속 증가할 것이며, 1997년 후반기부 터 건설업체에서 소방분야 도급을 받은 경우 소방설비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채용 의무화하는 등 증가요인으로 소방설비기사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.